ETNEWS 원문 기사 보기
<‘대한민국 디지털플랫폼정부, 세계로 가는 길을 묻다’ 좌담회가 지난 달 31일 서울 중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황준석 서울대 교수,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 최지윤 한국IT컨설팅 대표, 송호철 더존비즈온 대표, 이동훈 LG CNS 담당, 김미량 성균관대 교수, 조문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팀장, 손성주 행정안전부 과장, 조정명 한국국제협력단 팀장.>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아 디지털정부 수출 활로를 개척해야합니다.”
디지털정부 수출 관련 기업과 정부, 학계 관계자는 지난달 31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서울사무소에서 ‘대한민국 디지털플랫폼정부, 세계로 가는 길을 묻다’를 주제로 열린 좌담회에서 이 같이 한 목소리를 냈다.
좌담회에 참석한 대·중소기업은 해외 진출 국가 정보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동훈 LG CNS 공공DX사업 담당은 “대기업조차도 해당 국가에 법인이 없는 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며 “해당 국가 유능한 정보기술(IT) 협력업체 발굴부터 주요 법제도 등 해외진출에 필요한 정보 제공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담당은 “해외 사업을 수주하더라고 해당국 정부와 소통이나 사업 검수, 최종 대금 수납까지 사업 단계별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생기지만 호소할 곳이 없다”며 “정부간거래(G2G) 개념에서 정부가 중간에서 중재 등 역할을 해준다면 해외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지윤 한국IT컨설팅 대표는 “진출하려는 국가가 발주하는 제안요청서(RFP)를 구하기가 쉽지 않고 이 마저도 고가 비용을 받고 판매하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중소기업은 사업 발주 정보를 얻기도 어렵지만 자금 여력이 없어 수주 가능성을 담보하지 않은 채 고가 RFP를 구매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최 대표는 “정부가 공동으로 RFP 정보 등을 수집해 공유한다면 중소기업 해외 진출에 숨통이 틔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업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해외진출을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문준 NIA 팀장은 “통상 수출 사업이라고 하면 최소 몇십억에서 몇백억 단위 금액이 아니면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실제 해외 사업의 경우 5억원 미만 사업도 상당수이기 때문에 ‘롱테일법칙’으로 접근해야 조기 성과를 쌓고 이를 발판으로 추가 사업 수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디지털정부 수출 사업 상당수가 원조사업(ODA, EDCF 등) 이다. 지원 받는 수원국 현지 사정을 고려한 접근도 필요하다.
조정명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팀장은 “ODA를 통해 우리나라 디지털정부 시스템이 상당수 수출되고 해당국에 주요 시스템으로 정착된 경우도 많지만 현지화에 실패하거나 유지보수 등 사업을 확장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며 “수원국 입장에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 시스템을 비교해 선택해야 하는 만큼 현지 사정을 고려한 시스템 개발과 지원, 사업 제안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과거 해외 진출 실패 사례를 떠올려보면 해당국 사회경제 상황이나 법·제도 등을 고려하지 않을 채 우리 기술만을 강조하고 기술 적용에만 급급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최근 개도국은 우리나라 기술에 자국 시스템 환경이 종속되지 않을까 우려해 오픈소스를 원하는 추세인데 이러한 기술적 요구사항이나 사회 상황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진출해야 한다”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전자정부를 넘어 디지털플랫폼정부(디플정) 시대를 준비한다. 디플정 관점에서 해외 수출 방향도 모색해야 할때다.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는 “과거 전자정부 시스템은 부처마다 개발해 사용하다 보니 최근 디지털플랫폼정부가 고민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며 “해외도 새롭게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우리나라 과거 전자정부 모델보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최신 방법론과 기술을 도입하기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송 대표는 “디플정은 다양한 아키텍처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발하되 기업이 이를 기반으로 해외까지 진출 가능하도록 처음 발주단계부터 방법론을 고민해야 한다”며 “단순 시스템 모듈화뿐만 아니라 SaaS 시대에 대응하는 수출 지원과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기업 이 같은 고민을 함께 듣고 해결책을 모색,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정부 해외지원센터 운영을 시작한다.
김미량 성균관대 교수는 “그동안 해외 진출은 ODA 중심으로 접근했지만 ODA 그 이상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단순 원조가 아니라 해당국에서 우리나라와 기업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총체적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고 이런 가운데 해외지원센터가 중심 축이자 코디네이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손성주 행안부 과장은 “우리나라 디지털정부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정작 시스템 도입 시 장벽이 높다는 목소리도 있다”며 “오픈소스, 클라우드 등 해외 수요자 의견을 듣고 해외 진출 사업에 반영하는 등 기업 해외 진출을 돕고 수출을 지원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전자신문 ETNEWS 기사내용
|
ETNEWS 원문 기사 보기
<‘대한민국 디지털플랫폼정부, 세계로 가는 길을 묻다’ 좌담회가 지난 달 31일 서울 중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서울사무소에서 열렸다. 왼쪽부터 황준석 서울대 교수,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 최지윤 한국IT컨설팅 대표, 송호철 더존비즈온 대표, 이동훈 LG CNS 담당, 김미량 성균관대 교수, 조문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팀장, 손성주 행정안전부 과장, 조정명 한국국제협력단 팀장.>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아 디지털정부 수출 활로를 개척해야합니다.”
디지털정부 수출 관련 기업과 정부, 학계 관계자는 지난달 31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서울사무소에서 ‘대한민국 디지털플랫폼정부, 세계로 가는 길을 묻다’를 주제로 열린 좌담회에서 이 같이 한 목소리를 냈다.
좌담회에 참석한 대·중소기업은 해외 진출 국가 정보 부족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동훈 LG CNS 공공DX사업 담당은 “대기업조차도 해당 국가에 법인이 없는 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며 “해당 국가 유능한 정보기술(IT) 협력업체 발굴부터 주요 법제도 등 해외진출에 필요한 정보 제공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담당은 “해외 사업을 수주하더라고 해당국 정부와 소통이나 사업 검수, 최종 대금 수납까지 사업 단계별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생기지만 호소할 곳이 없다”며 “정부간거래(G2G) 개념에서 정부가 중간에서 중재 등 역할을 해준다면 해외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지윤 한국IT컨설팅 대표는 “진출하려는 국가가 발주하는 제안요청서(RFP)를 구하기가 쉽지 않고 이 마저도 고가 비용을 받고 판매하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중소기업은 사업 발주 정보를 얻기도 어렵지만 자금 여력이 없어 수주 가능성을 담보하지 않은 채 고가 RFP를 구매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최 대표는 “정부가 공동으로 RFP 정보 등을 수집해 공유한다면 중소기업 해외 진출에 숨통이 틔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업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해외진출을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문준 NIA 팀장은 “통상 수출 사업이라고 하면 최소 몇십억에서 몇백억 단위 금액이 아니면 의미가 없다고 본다”며 “실제 해외 사업의 경우 5억원 미만 사업도 상당수이기 때문에 ‘롱테일법칙’으로 접근해야 조기 성과를 쌓고 이를 발판으로 추가 사업 수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디지털정부 수출 사업 상당수가 원조사업(ODA, EDCF 등) 이다. 지원 받는 수원국 현지 사정을 고려한 접근도 필요하다.
조정명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 팀장은 “ODA를 통해 우리나라 디지털정부 시스템이 상당수 수출되고 해당국에 주요 시스템으로 정착된 경우도 많지만 현지화에 실패하거나 유지보수 등 사업을 확장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며 “수원국 입장에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 시스템을 비교해 선택해야 하는 만큼 현지 사정을 고려한 시스템 개발과 지원, 사업 제안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과거 해외 진출 실패 사례를 떠올려보면 해당국 사회경제 상황이나 법·제도 등을 고려하지 않을 채 우리 기술만을 강조하고 기술 적용에만 급급한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최근 개도국은 우리나라 기술에 자국 시스템 환경이 종속되지 않을까 우려해 오픈소스를 원하는 추세인데 이러한 기술적 요구사항이나 사회 상황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진출해야 한다”고 전했다.
우리나라는 전자정부를 넘어 디지털플랫폼정부(디플정) 시대를 준비한다. 디플정 관점에서 해외 수출 방향도 모색해야 할때다.
송호철 더존비즈온 플랫폼사업부문 대표는 “과거 전자정부 시스템은 부처마다 개발해 사용하다 보니 최근 디지털플랫폼정부가 고민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며 “해외도 새롭게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우리나라 과거 전자정부 모델보다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등 최신 방법론과 기술을 도입하기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송 대표는 “디플정은 다양한 아키텍처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발하되 기업이 이를 기반으로 해외까지 진출 가능하도록 처음 발주단계부터 방법론을 고민해야 한다”며 “단순 시스템 모듈화뿐만 아니라 SaaS 시대에 대응하는 수출 지원과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기업 이 같은 고민을 함께 듣고 해결책을 모색,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정부 해외지원센터 운영을 시작한다.
김미량 성균관대 교수는 “그동안 해외 진출은 ODA 중심으로 접근했지만 ODA 그 이상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단순 원조가 아니라 해당국에서 우리나라와 기업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총체적 관점에서 접근이 필요하고 이런 가운데 해외지원센터가 중심 축이자 코디네이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손성주 행안부 과장은 “우리나라 디지털정부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지만 정작 시스템 도입 시 장벽이 높다는 목소리도 있다”며 “오픈소스, 클라우드 등 해외 수요자 의견을 듣고 해외 진출 사업에 반영하는 등 기업 해외 진출을 돕고 수출을 지원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전자신문 ETNEWS 기사내용